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월령별로 알아보는 옹알이 순서 & 꿀팁!

 

월령별로 알아보는 옹알이 순서

 

2~3개월

아기가 생후 2개월이 되면 입과 혀, 목구멍을 지배하는 신경이 급속히 발달하여 옹알이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 무렵에는 전 세계의 아이들이 거의 비슷하게 옹알이 소리를 냅니다. 대부분 '아아아' 하는 소리를 내는데, 이 소리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동일 음절인 동시에 제일 내기 쉬운 소리기도 합니다. 아이는 옹알이를 하며 자신의 목소리를 듣는 것을 즐거워합니다.

 

4~8개월

아기가 생후 4개월~8개월 무렵에는 젖을 빨며 입술 근육과 혀끝이 단련되었기 때문에 보다 더 다양한 발음을 낼 수 있습니다. 아이의 발달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 '바', '마' 와 같은 단음절 소리를 어렵지 않게 낼 수 있습니다. 목청도 커지고 옹알이 횟수도 잦아지는데, 아이는 스스로 소리를 내는 것이 신이 나서 목이 쉬도록 큰 소리를 지릅니다.

 

9~10개월

아 기가 돌전 무렵이 되면 '마마마마', '바바바바' 소리를 정확하게 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아)빠, (아)빠', '(음)마, (음)마' 라고 발음할 때가 많아 초보 아빠와 엄마들이 '우리 아이가 벌써 아빠와 엄마라는 말을 할 줄 안다'라며 착각하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의미가 담긴 소리라기보다는 혀근육이 발달하여 자연스럽게 나는 소리입니다.

 

11~12개월

'아빠', '엄마'라는 말을 꽤 확실히 발음합니다. 돌 무렵엔 '바바바', '맘맘맘' 같은 연속된 옹알이를 하는데 거의 대화를 나누는 느낌이 들 정도입니다. 가끔은 타이밍이 잘 맞아서 아기가 맞장구를 쳐주는 것 같은 착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말을 걸 때 아이의 눈을 맞추고, 서로의 목소리를 주고받으며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입니다. 아이의 옹알이에 대답하는 것이 의미 없다고 느낄 수도 있으나 이후 아기의 언어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옹알이 대답 꿀팁!

 

1.

아이의 옹알이에 대답을 할 때 중요한 것은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아기가 알아듣지 못하더라도 간단하고 정확한 발음으로 짧게 말을 건넵니다. 아기가 옹알이를 할 때 많이 대답해 줄수록 아기의 언어 발달이 활발해집니다.

 

2.

대답할 때 아기에게 듣는 즐거움을 주려고 노력합니다. 한창 옹알이가 느는 시기에는 소리가 나는 장난감을 사용하여 즐거움을 느끼도록 유도합니다. 아기의 옹알이를 자극하는데 아빠와 엄마의 목소리만큼 좋은 것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동요를 불러주거나 수시로 말을 걸어 청각을 자극합니다. 딸랑이 마라카스를 흔들어 주는 것도 좋습니다.

 

3.

아기의 옹알이에 집중합니다. 원래 옹알이라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소리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시하지 말고 아이가 '아~마마마~' 하는 소리를 낼 때마다 "우리 소현이가 그랬어? 아~ 배가 고프다고? 엄마가 맘마 줄까?" 하며 적극적으로 응대해 줍니다.